국가 정책 및 혜택 정보
kb 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총정리
혜택이
2023. 6. 17. 23:25
안녕하세요, 청년도약계좌의 최종 이율이 나오면서 각 은행에서는 적금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그중에서 제가 자주 쓰는 계좌인 국민은행 계좌의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청년도약계좌는, 국가가 청년들을 위해 지원금을 제공하고 이율도 받을 수 있는 적금 형태의 계좌입니다. 하지만 5년이라는 긴 예탁기간과, 수입에 따라 다른 금리, 희망적금과 중복 불가 등의 여러 제약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고민하고 계실 텐데요.
그래도 비과세 혜택인 만큼, 내가 안정적으로 목돈을 만들고 싶다면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계좌입니다.
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 금리
국민은행의 최고 금리는 6%이며, 월 천원 이상 70만 원 이하를 납부할 수 있으며, 연간 납입한도는 840만 원 이내입니다. 만기해지 시 이자가 지급되며, 매월 자유롭게 저축이 가능합니다.
국민은행 청년도약계좌의 정부기여금은 소득별로 달라지게 되는데요. 소득구간에 따라 정부가 매월 지급하는 돈의 이율이 다르다는 의미이고, 기준과 금액,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.
개인소득구간 (총급여기준) |
개인소득구간 (종합/사업소득기준) |
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 | 정부기여금 지급비율 |
2400만원 이하 | 1600만원이하 | 월 납입원금과 40만원 중 같거나 적은 금액 | 정부기여금 산정 기준금액의 6.0% |
2400만원 초과 ~ 3600만원 이하 |
1600만원 초과 ~ 2600만원 이하 |
월 납입원금과 50만원 중 같거나 적은 금액 | 기준금액의 4.6% |
3600만원 초과 ~ 4800만원 이하 |
2600만원 초과 ~ 3600만원 이하 |
월 납입원금과 60만원 중 같거나 적은 금액 | 기준금액의 3.7% |
4800만원 초과 ~ 6000만원 이하 |
3600만원 초과 ~ 4800만원 이하 |
월 납입원금과 70만원 중 같거나 적은 금액 | 기준금액의 3.0% |
6000만원 초과 | 4800만원 초과 | 미지급 | 미지급 |
국민은행에서는 정부기여금에 자체 금리가 최대 6% 이지만, 최대라는 말은 어디까지나 우대금리를 받아야만 최대이고 우대금리를 받지 않았을 때 금리가 4.5%부터 시작합니다. 금리 자체는 기업은행이 높지만, 국민은행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들이라면 주거래은행에 개설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입니다.
반응형